IT/SAP

ERP 원가관리

Rothschild. 2022. 4. 5. 10:29
반응형

[ 회계 ]

정보의 형식, 수준, 깊이, 정보 이용자 등에 따라 재무회계, 관리회계로 구분

 

< 재무회계 >

- 정의

   기업의 외부 이해관계자(주주, 채권자, 정부/규제기관)를 대상으로 기업의 재무상태, 경영성과, 현금흐름 등의

   재무정보를 기업회계기준(GAAP,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), 기업회계기준(IFRS, International

   Financial Reporting Standards)에 따라 정확하게 측정/평가하고 재무제표 양식을 이용해 정기 보고/공시 수행

- 업무영역

  총계정원장(GL, General Ledger)

  채권관리(AR, Accounting Receivable)

  채무관리(AP, Account Payable)

  자산관리(AA, Asset Accounting)

  자금관리(TR, Treasury)

  세무관리(TA, Tax Accounting)

 

< 관리회계 >

- 정의 : 계획/목표 수립 및 실행/통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부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 제공

- 업무영역 : 원가결산

 

제조비와 판관비 간 차이

   재고자산→매출원가(매출실현 시점)와 발생기간 비용처리 기간의 문제이기에 합리적 기준 설정 시 문제 없다.

※ 원가 산출의 전 과정에서 1원 차이라도 재무제표 작성 시 차대 불일치 문제가 발생하므로 정합성이 중요하다.

 

1. 원가계산방법

    경영상 목적에 따라 적절한 원가 계산이 되어야 한다.

    - 업종특성/생산형태에 따라 개별원가(Job Order Costing)/종합원가(Process Costing)

    - 원가계산 시점에 따라 사전원가(목표기준)/사후원가(실적기준)

    - 원가계산 방법에 따라 표준원가(Standard Costing)/정상원가(Normal Costing)/실제원가(Acutal Costing)

    - 원가구분 방법에 따라 변동원가(Variable Costing, 제품원가에 포함하고 고정원가는 기간원가만 처리)/ 

       전부원가(Absorption Costing, 변동원가/고정원가 구분없이 모든 제조원가)

    - 원가정보활용목적에 따라 활동기준원가(Activity Based Costing)/품질원가(Quality Cost)/제품수명주기원가

       (Product Life-Cycle Cost)

 

원가체계와 기준정보는 ERP 설계시점에 설정해야 한다.

중도변경은 회계기준 변경에 해당하여 재무제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매우 신중해야 한다.

참고로 법인세법상 재고자산 평가방법 변경은 사업연도 종료일 3개월 전에 신고 의무가 있다.

반응형